본문 바로가기
증권투자 기초

기술적 분석 - 추세분석, 필터기법, 투자심리선

by 1derful 2022. 11. 18.

1. 추세분석이란?

주가는 일정 기간을 두고 보면 상승/하락/수평 형태 중 어느 하나의 추세를 따라 움직인다.

이러한 추세는 한번 형성되면 상당기간 지속되는 것이 보통이다. 하지만 그렇다고 한쪽 방향으로만 계속 움직이는 것은 아니며 어떤 시점에 가서는 다른 방향으로 전환하기 마련이다.

 

그래프 그림

투자자의 입장
주가가 상승추세를 형성하는 시점에서 매입하여 추세반전시점에서 주식을 처분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인 투자전략이므로 주가추세에 대한 분석이 필요

 

추세선

주가를 차트로 나타낸 흐름에서 의미있는 고점/저점을 연결한 직선을 추세선이라고 한다.

주가흐름의 특성 가운데는 일반적으로 어느 기간 동안 같은 방향으로 움직이는 경향이 있는데, 이것을 추세라고 하며 차트에 일정한 직선 또는 곡선으로 나타내는 선을 추세선이라 한다.

 

지지선: 주가파동의 저점들을 연결한 직선
지지선은 일정기간 보합세에 있을 때 이 기간 동안의 주가파동의 저점을 연결한 것이므로 이 금방에는 잠재적인 매수세력이 대기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한다. 그래서 주가가 이 수준 이하가 되면 매수하는 사람이 많아져서 다시 주가를 상승시킨다.

저항선: 주가파동의 고점들을 연결한 직선
저항선 주위에는 잠재적인 매도세력이 존재하여 주가수준이 이 근방을 넘게 되면, 그 동안 주식을 보유하던 많은 투자자들이 시세차익을 얻기 위해서 대량의 팔자주문을 내기 때문에 주가는 다시 하락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주가변동이 대량거래를 수반하면서 지지선이나 저항선을 뚫고 나가면 이는 새로운 추세가 형성될 가능성이 높다고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주가가 저항선을 돌파하면서 대량거래가 계속 이루어진다면 주가의 상승추세가 이어질 것이라고 판단한다.

2. 필터기법이란?

주가가 일정기간 동안의 최저점에서 일정한 비율만큼 상승하면 주식을 매입하고, 최고점에서 일정한 비율만큼 하락하면 매각하는 투자기법이다.

 

증권매입 또는 매도를 결정하는 가격변동비율 5% = 필터(fillter)
필터기법의 예) 어느 투자자가 필터기법을 이용해서 투자한다고 가정

투자종목 결정, 일정기간 동안 그 종목의 가격변동을 관찰
최근 고가 4만원, 그러면 이 투자자는 주가가 40,000원에서 5%하락한 38,000원에서 주식을 매도한다.

그리고 주가변화를 관찰하다가 최저가격이 2만원을 기록하고 상승하기 시작하면 20,000원에서 5%오른 수준인 21,000원이 되면 주식을 매입한다.

 

필터기법의 특징

필터기법은 주가의 단기적 움직임은 필터보다 작은 폭으로 움직이며 이 필터범위를 벗어날 때에는 장기적인 상향 또는 하향추세를 형성하면서 움직인다는 가정을 전제로 한다.

 

문제점

첫째, 필터크기를 어떻게 결정하느냐 하는 것이다.

5%,10%, 15% 등 여러 가지 크기가 있겠으나 이는 투자자가 주관적으로 결정할 수 밖에 없는 것이다. 필터의 크기를 작게 정하면 위험은 적지만 거래가 빈번해져서 거래비용부담이 커지고 필터의 크기를 크게 정하면 거래비용부담은 적지만 위험이 커진다.

둘째, 최저가격이라고 판단한 수준을 상회하여 매입하였는데도 주가가 상승하지 않고 그보다 더 낮은 수준으로 하락할 수 있다는 것이다.

 


3. 투자심리선이란?

특정 주식에 대한 인기의 변화, 즉, 투자심리의 변화를 파악하고자 하는 지표이다.

분석의 어려움과 문제점을 극복하고 수많은 요인들이 반영된 투자자의 행동이 어떻게 집결 되었는가를 한 눈에 알 수 있도록 고안한 것이 투자심리선이다.

 

투자심리도(%)=(최근 10일중 주가상승일수/10)*100
10일중에서 상승일수가 차지하는 비율

 

투자심리선을 이용한 투자전략

대체로 투자심리도를 이용해서 투자전략을 수행할 때에는 25%이하에서 매입하고 75% 수준에서는 매도한다.

 

*투자심리도
75%이상(과열상태) ☞경계지대
25%이하(침체상태) ☞안전지대
25%~75% ☞중립지대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