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증권투자 기초

기술적 증권분석 - 선도표, 봉도표

by 1derful 2022. 11. 6.
기술적 분석의 필요성
기본적 분석방법은 경제분석, 산업분석, 그리고 기업분석 과정을 거쳐서 특정주식의 적정가격 또는 내재가치를 판단하고 투자종목을 선택하는 것이다. 하지만 기본적 분석방법을 통해 투자가치가 있다고 판단, 선택한 주식도 증권시장 여건이 변화하면서 계속 가격이 변동하기 때문에 투자시점을 잘못 선택하면 손실 입게 될 수도 있다.
주식을 사고파는 타이밍을 찾아내고 과거의 주식 동향은 파악하기 위하여 기술적 분석이 필요하다.
투자수익을 높이려면 낮은 가격으로 팔아야 하기 때문에 주가변동의 움직임을 파악해야 효율적인 매입시점과 매도시점을 결정할 수가 있다.

 

 

기술적 분석(technical analysis)

투자수익을 극대화하기 위해서 시장전체 또는 개별종목의 가격변동을 분석하고 예측함으로써 어느 시점에서 매입해야 하고 어느 시점에서 매도해야 하는지를 다루는 기법이다.

분석대상: 주가와 거래량

분석방법: 차트를 작성하고 이를 해석

 

기술적 분석의 가정
기술적 분석방법은 주로 과거의 주가 정보나 거래량 등의 추이를 분석하여 투자결정에 이용하는데 여기에는 몇가지 가정을 전제로 한다.

가정1) 주가는 그 주식에 대한 수요와 공급에 의해서만 결정된다.
이때의 수요와 공급은 경제적, 심리적 요인 등 다양하고 복합적인 요인에 의하여 결정되고, 차트상에 나타나는 주가움직임에는 주식투자와 관련된 모든 정보가 총체적으로 반영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가정2) 주가는 추세를 가지고 움직인다.
시장변동에서 미세하게 나타나는 부분은 일시적인 성격의 갖는 것이고, 이를 무시하면 주가변동은 상당히 장기간에 걸쳐서 추세를 형성한다.
가정3) 주가변동의 추세나 형태는 반복되어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

기술적 분석방법에 속하는 대부분의 기법들은 도표(차트)를 그려서 분석하는 것이 특징이다.

 

선도표(line chart)

꺾은선 그래프의 형태로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주가를 선으로 이어 주가변동을 표시하는 것으로 분석가가 각 시점에서 단일값에만 관심을 가지고 있을 때 유용하다.

선도표(line chart)
선도표(line chart)


 

봉도표(bar chart)

일정기간 동안의 주기변화를 막대모양으로 표시하고 이를 시간의 흐름에 따라서 계속적으로 그린 도표이다.

봉이란 막대그래프를 말하며 일정 기간(주로 일봉·주봉·월봉)의 시가와 종가, 저가, 고가를 하나의 봉에 나타내는 것을 말하며 주가흐름을 파악하는데 가장 유용한 지표가 된다.

 

봉도표는 작성방법에 따라 미국식 차트와 일본식 차트로 나누어 진다. 일본식 봉도표를 이용하면 더 많은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일본식 봉도표를 사용한다.

미국식 차트: 4가지 대표주가 중 고가, 저가, 종가만을 표시하여 주가를 나타낸다.

일본식 차트: 시가, 고가, 저가, 종가의 4가지 주가를 모두 표시한다.

시가: 처음으로 형성된 가격
고가: 하루 중의 가장 높았던 가격
저가: 하루 중의 가장 낮았던 가격
종가: 주식시장이 문을 닫을 때 형성된 최종 가격

 

봉도표의 작성

종가가 시가보다 올랐을 때 막대를 적색(또는 흰색)으로 표시
종가가 시가보다 떨어졌을 때 막대를 청색(또는 흑색)으로 표시

가격이 오른 봉을 양봉, 가격이 내린 봉을 음봉 이라고 부른다.

이 기간 동안의 최고가격/최저가격 수준을 막대와 연결된 선으로 나타냄으로써 해당기간 중의 가격 변동폭을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양봉: 종가가 시초가보다 높을 때 하얗게 표시되는 막대
음봉: 종가가 시초가보다 낮을 때 검은색으로 표시되는 막대

 

봉도표의 활용

여러 형태의 봉도표가 갖고 있는 의미를 잘 이해함으로써 단기적인 매매시점을 포착할 수 있다.

▶시가보다 종가가 상승한 경우
① 시가, 종가, 고가, 저가가 각각 다른 경우
매수세력이 우세
이런 형태가 저가권에서 형성되면 주가가 상승국면으로 반향이 전환되는 경우가 많다.
고가
저가
시가
종가
② 시가=저가, 종가=고가인 경우
매수세력이 우세
저가권에서 나타나면 주가가 크게 상승할 가능성이 높다.
종가=고가
시가=저가
③ 시가와 저가가 같고 종가와 고가가 다른 경우
주가가 상승세를 타고 있지만 고가에서 매도세력에 밀려서 증가는 고가보다 낮게 체결되었다는 의미. 이런 형태가 고가권에서 나타나면 주가는 곧 하락할 가능성이 높다.
고가
종가
시가=저가
④ 종가와 고가가 같고 시가와 저가가 다른 경우
시세가 전환될 때 나타나는 경우가 많으며 저가권에서는 반등, 고가권에서는 반락할 가능성이 크다. 이는 매수세력과 매도세력이 서로 균형있게 맞서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종가=고가
시가
저가

 

시가보다 종가가 하락한 경우
⑤ 시가, 종가, 고가, 저가가 각각 다른 경우
매도세력이 우세
이런 형태가 고가권에서 나타나면 하락국면으로 전환되는 경우가 많다.
고가
저가
시가
종가
⑥ 시가=저가, 종가=저가인 경우
매도세력이 우세
고가권에서 나타나면 주가가 크게하락할 가능성이 높다.
종가=고가
시가=저가
⑦ 시가와 고가가 같고 종가와 저가가 각각 다른 경우
하락세이지만 저가권에서는 주가의 반등가능성을 의미한다.
고가
종가
시가=저가
⑧시가와 고가가 다르고 종가와 저가가 같은 경우
매도세력이 우세
고가권에서 나타나면 주가는 크게 하락할 가능성이 높다.
종가=고가
시가
저가

 

 

반응형

댓글